프롬프트(Prompt)는 컴퓨터가 입력을 기다리고 있음을 가리키기 위해 화면에 나타나는 표시 명령어 중심의 시스템에서는 명령어를 받아들이기 위한 준비가 되었을 때, 미리 정해진 부호를 나타낸다. 유닉스(리눅스)에서는 $ 또는 #를 나타낸다. 터미널을 사용할 때 프롬프트(Prompt)는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, Bash(Bourne-again) Shell에서 프롬프트(Prompt) 정보는 PS1이라는 변수에 들어있다. 현재 사용하는 Shell은 환경변수를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. $ echo $SHELL 같은 방법으로 PS1의 정보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. $ echo $PS1 현재 시스템에서 사용이 가능한 Shell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. $ cat /etc/shells Shell 변경은 chsh ..
- 프롬프트 변경# vi /etc/bashrc PS1 초기 상태 PS1 값 변경 PS1="\[$(tput setaf 1)\][\u:\W]\\$ \[$(tput sgr0)\]" 변경 후 재시작하면 적용된 결과 확인 가능# shutdown -r now - 운영체제 버전 확인# cat /etc/*release* - 리눅스 커널 버전 확인# uname -a # cat /proc/version - 리눅스 시스템 비트 확인# arch# getconf LONG_BIT - CPU 정보# cat /proc/cpuinfo - 메모리 정보# cat /proc/meminfo - 파티션 정보# cat /proc/partitions - 호스트네임 정보# hostname
Type fieldd : directoryl : symbolic link (링크되어 있는 파일) 하드 링크는 일반 파일로 표시s : socket (소켓 기능을 하는 파일)p : named pipe (PIPO, 파이프 기능을 하는 파일)- : regular file (일반 파일)c : character (unbuffered) device file special (문자형 특수 장치 파일) ex) 터미널 /dev/console, /dev/ttyb : block (buffered) device file special (블록형 특수 장치 파일) ex) 디스크 /dev/disk Permissions fieldu : The user permission bits in the original mode of the fil..